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44
1744번: 수 묶기
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졌을 때, 그 수열의 합을 구하려고 한다. 하지만, 그냥 그 수열의 합을 모두 더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, 수열의 두 수를 묶으려고 한다. 어떤 수를 묶으려고 할 때, 위치에
www.acmicpc.net
Question
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졌을 때, 그 수열의 합을 구하려고 한다. 하지만, 그냥 그 수열의 합을 모두 더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, 수열의 두 수를 묶으려고 한다. 어떤 수를 묶으려고 할 때, 위치에 상관없이 묶을 수 있다. 하지만, 같은 위치에 있는 수(자기 자신)를 묶는 것은 불가능하다. 그리고 어떤 수를 묶게 되면, 수열의 합을 구할 때 묶은 수는 서로 곱한 후에 더한다.
예를 들면, 어떤 수열이 {0, 1, 2, 4, 3, 5}일 때, 그냥 이 수열의 합을 구하면 0+1+2+4+3+5 = 15이다. 하지만, 2와 3을 묶고, 4와 5를 묶게 되면, 0+1+(2*3)+(4*5) = 27이 되어 최대가 된다.
수열의 모든 수는 단 한번만 묶거나, 아니면 묶지 않아야한다.
수열이 주어졌을 때, 수열의 각 수를 적절히 묶었을 때, 그 합이 최대가 되게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Input
첫째 줄에 수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. N은 5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수열의 각 수가 주어진다. 수열의 수는 -1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Output
수를 합이 최대가 나오게 묶었을 때 합을 출력한다. 정답은 항상 231보다 작다.
Example Input
4 -1 2 1 3
Example Output
6
My Solutions
const fs = require('fs'); const filePath = process.platform === 'linux' ? '/dev/stdin' : './input.txt'; const input = fs .readFileSync(filePath) .toString() .trim() .split('\n') .map((val) => +val); const [n, ...list] = input; function solution(n, list) { const minusArr = []; const plusArr = []; let zeroCnt = 0; let oneCnt = 0; let ans = 0; for (let i = 0; i < n; i++) { if (list[i] === 0) { zeroCnt++; } else if (list[i] === 1) { oneCnt++; } else if (list[i] < 0) { minusArr.push(list[i]); } else { plusArr.push(list[i]); } } const sortedMinus = minusArr.sort((a, b) => b - a); const sortedPlus = plusArr.sort((a, b) => a - b); while (sortedPlus.length > 1) { const first = sortedPlus.pop(); const second = sortedPlus.pop(); ans += first * second; } if (sortedPlus.length % 2 === 1) { ans += sortedPlus.pop(); } while (sortedMinus.length > 1) { const first = sortedMinus.pop(); const second = sortedMinus.pop(); ans += first * second; } if (sortedMinus.length % 2 === 1 && zeroCnt === 0) { ans += sortedMinus.pop(); } ans += oneCnt; console.log(ans); } solution(n, list);
처음엔 1715번 문제와 같이 heap을 사용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인 줄 알고 헤맸는데 pop() 메서드를 활용하면 생각보다 간단히 풀리는 문제였다.
주어진 숫자에서 가능한 큰 수끼리 묶어야 결괏값이 커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자. -1 * 3 + 1 * 2 보다 -1 * 1 + 2 * 3이 결괏값이 더 크다. 또한 음수끼리 곱하면 양수로 변하는 성질도 활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자.
- 우선 주어진 수열을 음수, 1보다 큰 수, 0, 1 4가지로 나누어 빈 배열에 저장한다.
- 1보다 큰 수를 담은 배열을 정렬해 최댓값과 그 다음으로 큰 값을 곱한 후 더해나간다. 원소의 개수가 홀수일 때는 마지막 남은 수를 그대로 더 한다.
- 음수를 담은 배열을 정렬해 최솟값과 그 다음으로 작은 값을 곱한 후 더해나간다. 원소의 개수가 홀수일 때는 수열에 0이 있다면 1개 남는 음수를 0과 곱해 0으로 만들고, 0이 없다면 그대로 더한다.
위 과정을 통해 구한 값을 누적하여 더하고, 그 값에 1의 개수를 더한다.
함께 보기
1. pop() 메서드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Global_Objects/Array/pop
Array.prototype.pop() - JavaScript | MDN
The pop() method removes the last element from an array and returns that element. This method changes the length of the array.
developer.mozilla.org
'👩💻 Programming > Coding Test 문제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ekJoon] 1541번 잃어버린 괄호_JavaScript (0) | 2022.06.24 |
---|---|
[BaekJoon] 1931번 회의실 배정_JavaScript (0) | 2022.06.24 |
끝에서부터 노드 세기(From the Tail) (0) | 2022.04.05 |
중간 노드 찾기(Find the Middle Node) (0) | 2022.04.05 |
피보나치의 수열(Fibonacci Sequence) (0) | 2022.04.05 |
댓글